정근수당(精勤手當)에 대해 면밀히 알아보자.

정근수당이 무슨 수당일까?

공무원들은 일반 회사원들보다 급여 이외에 각종 수당 및 상여금 제도가 매우 발달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수당들을 정근수당(精勤手當)이라고 하는데, 연차휴가나 병가제도도 상당히 잘되어 있어서 자기계발 혹은 육아휴직 시 상당한 도움이 됩니다.

정근수당이란

하지만 이러한 혜택만 보고 무턱대고 공무원 시험 준비를 시작했다가 중도 포기하시는 분들도 꽤 많다고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위 언급된 사항 외에도 근무환경 자체가 굉장히 보수적이고 폐쇄적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여러분께서 국가직 또는 지방직 공무원 임용시험 합격 후 공직생활을 하게 된다면 어떠한 복지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정근수당의 종류

공무원 수당제도상 특수업무수당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해당 분야 업무 종사자에게 지급되는 수당인데요. 크게 다섯 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 기술정보수당
  • 연구업무수당
  • 교육공무원 보전수당
  • 도서벽지 근무수당
  • 특수직무수당입니다

각각의 대상자와 기준액 그리고 신청방법 및 절차 등 자세한 사항은 인사혁신처 홈페이지 내 관련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근수당 심화

우선 기본급여(봉급)이외에 명절수당, 성과상여금, 가족수당, 자녀학비보조수당, 주택수당,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초과근무수당, 연가보상비 등 다양한 수당체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업무 특성상 야근이 잦고 주말 출근도 빈번합니다.
따라서 시간외근무수당 지급기준에 의거하여 월 최대 57시간까지 인정받을 수 있으며 휴일근무수당 역시 1일 8시간 이내 4시간 이상 근무 시 통상임금의 50% 가산지급됩니다.


뿐만 아니라 만 5세 이하 취학 전 자녀 양육을 위해 필요시 3년 범위 내에서 휴직 신청이 가능하며 출산 전후 90일간 휴가 사용이 가능합니다.


더불어 임신 12주 이내 36주 이상 임산부에게는 하루 2시간 단축근무제가 적용되며 난임치료 시술을 받는 경우 연간 3일 무급휴가 지원받습니다.

또한 국가공무원법 제46조에 의거하여 만 60세 정년 보장이라는 안정적인 직장 생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퇴직 후 연금 수령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재직 기간 동안 징계처분 없이 성실히 근무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자녀 학자금 지원인데요. 고등학교 수업료 전액 면제(국공립), 대학교 입학금 및 등록금 무이자 대여 (한국장학재단), 대학생 자녀 국고 장학금 지급(소득분위별 차등지급)등 다양한 교육비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주택 자금 대출이자 지원,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 임대주택, 운영지원, 맞춤형 복지포인트 제공, 건강검진 실시, 의료비 할인 등등 정말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정근수당 체크

Leave a Comment